그림을 시작해보자

10년독학그림쟁이,그림을 그리는 자세 , 브러시 설정 PART2

그림쟁2 2025. 3. 21. 14:22
반응형

저번 글에서는 제품 위주의 설명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브러시 세팅 방법과 그림을 그리는 자세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그림을 그릴 때 가장 중요한 자세에 대한 얘기입니다.

자세에 관한 주제는 꼭 꼭 체크해 주시길 바랍니다.

오늘의 주제

  1. 자신에게 맞는 브러시 세팅
  2. 펜을 잡는 방법 및 타블렛의 위치

 

 

시작하기에 앞서 꼭 체크해주실 부분!

화면 왼쪽 상단의 파일(F) -> 필압 검지 레벨 조정(J)을 클릭하시면

타블렛의 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프로그램 내에서만 작동합니다)

여기서 자신이 어느 정도 힘을 줘야 원하는 필압이 나오는지 잘 체크하시고 시작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최소한의 힘으로 그림을 그리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몸에 힘을 최대한 빼시고 측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1. 자신에게 맞는 브러시 세팅

클립스튜디오를 주로 사용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브러시 설정 탭 활성화하기

먼저, 브러시 설정을 조정하려면 "도구 속성" 창이 필요합니다.

  • 창(W) > 도구 속성을 활성화하면 브러시 설정 탭을 볼 수 있습니다.

✔ 브러시 크기 조절

  • 브러시 크기 옆의 설정 버튼을 누르면 브러시 필압 설정 창이 열립니다. (타블렛을 쓰는 이유)

(눈 표시를 활성화하면 보조 속성에서 옵션을 보이게 설정 가능)

 

✔ 필압 설정

필압 곡선을 조절하여 브러시의 반응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필압 단계가 높을수록: 100% 강한 필압까지 가는 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지만 손에 피로가 쌓일 수 있습니다.
  • 필압 단계가 낮을수록: 적은 힘으로도 강한 필압이 나오므로, 힘을 덜 들이면서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 보통 지그재그형 곡선으로 설정하면 자연스러운 필압 조절이 가능합니다.

이런 식의 모양이 된다면 필압의 단계가 높아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00%까지 가는 데에 필요한 힘이 더욱 강해집니다.

반대로 필압의 단계가 낮아지고 적은 힘으로도 강한 필압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을 밸런스로 잡아서

지그재그형의 모양을 만든다면 선에 힘을 주기 좋습니다.

  • 필압 체크: 태블릿의 필압을 ON/OFF 할 수 있습니다.
  • 최소치 조절: 필압이 너무 세세하게 나오는 경우 최소치를 약간 올려주면 너무 가는 선이 나오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울기와 속도는 현실의 붓처럼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지만, 컴퓨터 작업에서는 깔끔한 선이 유리하기 때문에 주로 랜덤성이 필요한 브러시에 활용합니다.

✔ 잉크 설정

    • 불투명도: 100에 가까울수록 선택한 색과 유사하게 표현됩니다.

불투명도를 낮추면 교집합이 생깁니다.

타블렛을 쓰는 이유로 필압으로 불투명도를 조절해서 현실의 그림과 비슷한 느낌을 주도록 합니다.

잘 못 다룬다면 그림이 더러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합성 모드: 레이어 속성과 유사하며, 특정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삭제"로 설정하면 지우개 브러시처럼 동작합니다.
    • 기본값은 "표준"입니다.
  • 밑바탕 혼색 (클립스튜디오 전용 기능):
    • 실제 물감을 섞는 것처럼 색이 자연스럽게 섞이도록 조절하는 옵션입니다.

✔ 브러시 모양과 스트로크

브러시 모양을 설정하는 탭

  • 브러시 모양의 간격을 조정하여 선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설정합니다.
  • 간격이 너무 좁으면 브러시의 디테일이 높아지는 대신 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보정 기능

  • 보정

  • 모서리를 뾰족하게 처리: 선의 끝을 날카롭게 만듭니다. 다만, 일부 브러시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텍스쳐 브러시)
  • 손떨림 보정: 선의 흔들림을 줄여줍니다.
    • 판타블렛 사용자는 손떨림 보정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액정타블렛 사용자는 손떨림 보정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타블렛의 위치 및 펜을 잡는 방법

✔ 타블렛 위치 조정하기

  • 기본적으로 몸의 정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하지만 체형과 타블렛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저는 오른손잡이라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서 배치하고 있습니다.
  • 가끔 타블렛이 삐뚤어진 상태로 긋는 분들을 보았습니다. 이러한 습관을 가지신 분들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항상 같은 선을 그리기 힘들어지고 , 날에 따라 컨디션 차이가 생기고 슬럼프에 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른 자세로 그려야 하는 건 다들 알고 있지만 정작 지키는 사람이 별로 없었습니다.
    너무 당연하다 보니 등한시된다고 생각됩니다. 항상 그림을 그리기 전에 저는 타블렛의 위치와 의자 높이를 체크합니다.

✔ 모니터와 책상 높이 조정

  • 모니터: 눈높이에 맞게 조정
  • 책상 높이: 타블렛 위에 손을 올렸을 때 어깨가 올라가지 않는 높이가 적절합니다.

✔ 펜을 올바르게 잡는 방법

  1. 중지에 펜을 가볍게 올립니다. 여기서 너무 앞에 부분을 잡아서는 안됩니다.
  2. 검지와 엄지로 가볍게 감싸며, 위에서 살짝 누르는 느낌으로 잡습니다.
  3. 손목과 팔을 함께 움직이며 선을 그립니다.

핵심은 최대한 힘을 빼는 것입니다. 엄지와 검지로 자연스럽게 눌러주면서, 손목과 팔의 움직임을 조화롭게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연습하면 힘을 덜 들이면서 엄지 또는 검지로 힘을 조절하며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직선과 곡선 꾸준한 연습을 해주십시오.

 

어느 정도 길게 잡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손가락 길이가 다르고 손 모양도 달라서 한번 잡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불필요하게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시는 분들의 해결방법은 펜에 휴지나 붕대를 감아서 테이프로 고정시키십시오.

 

 

제가 쓰는 브러시를 올려드리고 마치겠습니다.

H1얇은 세세한모양잡기펜.sut
0.04MB
ハト연필스케치.sut
1.25MB
동글팬.sut
0.04MB
딱딱한팬.sut
0.36MB
러프부드러운팬 .sut
0.36MB

 

H1얇은 세세한 모양 잡기 펜 - 말 그대로 세세한 칠할 때 사용합니다

저는 불투명도를 필압으로 쓰지 않고  손으로 퍼센트를 조절해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ハト연필스케치 - 선화를 딸 때 주로 사용합니다. 얇을 땐 적당히 얇고 , 굵은 때는 굵게 나오는 게 특징

둥글팬 - 포토샵의 동그랗게 나오는 브러시와 흡사해서 씁니다.

딱딱한팬 - 주로 밑색이나 채색 범위를 지정할 때 사용합니다.

러프부드러운팬 - 주로 채색이나 러프를 할 때 사용합니다.

 

글 요약

그림을 그릴 때는 몸과 손에 힘을 풀고 그리자.

그전에 자신에게 맞는 세팅을 찾자.

최소한의 힘으로 그림을 그리는게 가장 바람직하다.

펜을 잡는 방법에 대해서는 정말 정말 정말 중요하니 꼭 체크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클립스튜디오에서 자주 쓰이는 기능에 대해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