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글에서는 제품 위주의 설명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브러시 세팅 방법과 그림을 그리는 자세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그림을 그릴 때 가장 중요한 자세에 대한 얘기입니다.
자세에 관한 주제는 꼭 꼭 체크해 주시길 바랍니다.
오늘의 주제
- 자신에게 맞는 브러시 세팅
- 펜을 잡는 방법 및 타블렛의 위치
시작하기에 앞서 꼭 체크해주실 부분!
화면 왼쪽 상단의 파일(F) -> 필압 검지 레벨 조정(J)을 클릭하시면
타블렛의 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프로그램 내에서만 작동합니다)
여기서 자신이 어느 정도 힘을 줘야 원하는 필압이 나오는지 잘 체크하시고 시작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최소한의 힘으로 그림을 그리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몸에 힘을 최대한 빼시고 측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1. 자신에게 맞는 브러시 세팅
클립스튜디오를 주로 사용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브러시 설정 탭 활성화하기
먼저, 브러시 설정을 조정하려면 "도구 속성" 창이 필요합니다.
- 창(W) > 도구 속성을 활성화하면 브러시 설정 탭을 볼 수 있습니다.
✔ 브러시 크기 조절
- 브러시 크기 옆의 설정 버튼을 누르면 브러시 필압 설정 창이 열립니다. (타블렛을 쓰는 이유)
(눈 표시를 활성화하면 보조 속성에서 옵션을 보이게 설정 가능)
✔ 필압 설정
필압 곡선을 조절하여 브러시의 반응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필압 단계가 높을수록: 100% 강한 필압까지 가는 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합니다.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지만 손에 피로가 쌓일 수 있습니다.
- 필압 단계가 낮을수록: 적은 힘으로도 강한 필압이 나오므로, 힘을 덜 들이면서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 보통 지그재그형 곡선으로 설정하면 자연스러운 필압 조절이 가능합니다.
이런 식의 모양이 된다면 필압의 단계가 높아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00%까지 가는 데에 필요한 힘이 더욱 강해집니다.
반대로 필압의 단계가 낮아지고 적은 힘으로도 강한 필압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을 밸런스로 잡아서
지그재그형의 모양을 만든다면 선에 힘을 주기 좋습니다.
- 필압 체크: 태블릿의 필압을 ON/OFF 할 수 있습니다.
- 최소치 조절: 필압이 너무 세세하게 나오는 경우 최소치를 약간 올려주면 너무 가는 선이 나오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울기와 속도는 현실의 붓처럼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지만, 컴퓨터 작업에서는 깔끔한 선이 유리하기 때문에 주로 랜덤성이 필요한 브러시에 활용합니다.
✔ 잉크 설정
- 불투명도: 100에 가까울수록 선택한 색과 유사하게 표현됩니다.
불투명도를 낮추면 교집합이 생깁니다.
타블렛을 쓰는 이유로 필압으로 불투명도를 조절해서 현실의 그림과 비슷한 느낌을 주도록 합니다.
잘 못 다룬다면 그림이 더러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합성 모드: 레이어 속성과 유사하며, 특정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삭제"로 설정하면 지우개 브러시처럼 동작합니다.
- 기본값은 "표준"입니다.
- 밑바탕 혼색 (클립스튜디오 전용 기능):
- 실제 물감을 섞는 것처럼 색이 자연스럽게 섞이도록 조절하는 옵션입니다.
✔ 브러시 모양과 스트로크
브러시 모양을 설정하는 탭
- 브러시 모양의 간격을 조정하여 선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설정합니다.
- 간격이 너무 좁으면 브러시의 디테일이 높아지는 대신 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보정 기능
- 보정
- 모서리를 뾰족하게 처리: 선의 끝을 날카롭게 만듭니다. 다만, 일부 브러시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텍스쳐 브러시)
- 손떨림 보정: 선의 흔들림을 줄여줍니다.
- 판타블렛 사용자는 손떨림 보정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액정타블렛 사용자는 손떨림 보정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타블렛의 위치 및 펜을 잡는 방법
✔ 타블렛 위치 조정하기
- 기본적으로 몸의 정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하지만 체형과 타블렛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저는 오른손잡이라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서 배치하고 있습니다.
- 가끔 타블렛이 삐뚤어진 상태로 긋는 분들을 보았습니다. 이러한 습관을 가지신 분들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항상 같은 선을 그리기 힘들어지고 , 날에 따라 컨디션 차이가 생기고 슬럼프에 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른 자세로 그려야 하는 건 다들 알고 있지만 정작 지키는 사람이 별로 없었습니다.
너무 당연하다 보니 등한시된다고 생각됩니다. 항상 그림을 그리기 전에 저는 타블렛의 위치와 의자 높이를 체크합니다.
✔ 모니터와 책상 높이 조정
- 모니터: 눈높이에 맞게 조정
- 책상 높이: 타블렛 위에 손을 올렸을 때 어깨가 올라가지 않는 높이가 적절합니다.
✔ 펜을 올바르게 잡는 방법
- 중지에 펜을 가볍게 올립니다. 여기서 너무 앞에 부분을 잡아서는 안됩니다.
- 검지와 엄지로 가볍게 감싸며, 위에서 살짝 누르는 느낌으로 잡습니다.
- 손목과 팔을 함께 움직이며 선을 그립니다.
핵심은 최대한 힘을 빼는 것입니다. 엄지와 검지로 자연스럽게 눌러주면서, 손목과 팔의 움직임을 조화롭게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연습하면 힘을 덜 들이면서 엄지 또는 검지로 힘을 조절하며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직선과 곡선 꾸준한 연습을 해주십시오.
어느 정도 길게 잡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손가락 길이가 다르고 손 모양도 달라서 한번 잡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불필요하게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시는 분들의 해결방법은 펜에 휴지나 붕대를 감아서 테이프로 고정시키십시오.
제가 쓰는 브러시를 올려드리고 마치겠습니다.
H1얇은 세세한 모양 잡기 펜 - 말 그대로 세세한 칠할 때 사용합니다
저는 불투명도를 필압으로 쓰지 않고 손으로 퍼센트를 조절해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ハト연필스케치 - 선화를 딸 때 주로 사용합니다. 얇을 땐 적당히 얇고 , 굵은 때는 굵게 나오는 게 특징
둥글팬 - 포토샵의 동그랗게 나오는 브러시와 흡사해서 씁니다.
딱딱한팬 - 주로 밑색이나 채색 범위를 지정할 때 사용합니다.
러프부드러운팬 - 주로 채색이나 러프를 할 때 사용합니다.
글 요약
그림을 그릴 때는 몸과 손에 힘을 풀고 그리자.
그전에 자신에게 맞는 세팅을 찾자.
최소한의 힘으로 그림을 그리는게 가장 바람직하다.
펜을 잡는 방법에 대해서는 정말 정말 정말 중요하니 꼭 체크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클립스튜디오에서 자주 쓰이는 기능에 대해서입니다.
'그림을 시작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캔버스 사이즈, 브러시 크기는 몇으로 설정해야 할까?+업계 얘기 (0) | 2025.03.22 |
---|---|
클립 스튜디오만의 편리한 기능에 대해서 배워보자 (1) | 2025.03.21 |
10년독학그림쟁이,그리기 전 준비해야 할 것들 PART1 (2) | 2025.03.20 |
10년 독학 그림쟁이, 독학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0) | 2025.03.19 |